회사 동료 확진...PCR검사 받으려고 하루 종일 헤맸다
회사 동료 확진...PCR검사 받으려고 하루 종일 헤맸다
김혜인 기자 hen@chosun.com2022-02-12 오후 12:16:22

정부가 코로나19 진단,검사 체계를 변경하면서 시민들이 혼란을 겪고 있다. 현재 PCR 검사는 정부가 정한 고위험군만 대상으로 진행하며 그 외에는 신속항원검사(자가진단)를 받도록 개편됐다. 변경된 체제에 시민들은 자가진단키트를 구하지 못해 애를 먹거나, 검사를 받으러 병원을 찾았다가 선착순 예약이 마감된 바람에 발길을 돌리는 등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다.
서울 송파구에 사는 30대 A씨는 지난 2월 11일 직장 동료 2명이 코로나 양성판정을 받았다는 사실을 통보받았다. 회사는 A씨가 속한 부서원 전원 PCR검사를 받으라는 지시를 내렸다. 그러나 같은 사무실에서 근무한다고 무조건 밀접 접촉자로 분류되지 않는다. 밀접접촉자 인정을 받지 못하면 선별진료소에서 PCR 검사를 받을 수가 없다.
밀접접촉자는 마스크를 쓰지 않고, 2m 이내에서, 15분 이상 접촉한 경우에 인정된다. 선별진료소에서는 △보건소에서 밀접접촉 등을 이유로 PCR 검사를 요청받은 역학 연관자 △진료 과정에서 의사가 PCR 검사가 필요하다고 소견서를 작성해준 환자 △60세 이상 △자가검사키트·신속항원 양성자의 경우에만 PCR 검사를 해준다.

밀접접촉자 분류가 안될 경우 대부분 PCR 검사를 유료로 받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A씨도 방역당국으로부터 밀접접촉자 연락을 받지 못한 상태에서 유료로라도 PCR 검사를 받기 위해 PCR 검사를 해주는 병원을 찾기 시작했다. A씨는 11일 오전 내내 전화에 매달려야 했다. 송파구 근처의 한 종합 병원에 전화를 걸었지만 30분 넘게 ARS 음성은 상담원으로 넘어가지 않았다. 종합 병원 두 곳에 더 전화를 했지만 마찬가지였다. 안 되겠다 싶어 A씨는 종합 병원 한 곳으로 갔지만 거기서도 발걸음을 돌릴 수밖에 없었다.
A씨는 “아침 6시 30분부터 선착순 대기 명단을 받아 이미 PCR 마감이 된 상태였다. 의료진이 알려준 근처 이비인후과 3곳에 전화를 해 본 후에야 겨우 병원문 닫기 전 아슬아슬하게 검사를 했다”면서 PCR 검사 처를 알아보느라 하루 종일 헤맸다면서 분통을 터뜨렸다. 민간병원의 PCR 검사 비용도 10~13만원 등 들쭉날쭉이다.
확진자와 접촉한 서울 성북구에 사는 50대 B씨는 신속항원검사를 받으러 이비인후과에 들렀다가 깜짝 놀랐다. 선별진료소의 긴 줄에 놀라 근처 이비인후과에 갔는데 그 곳에도 신속항원검사를 하러 온 사람들로 대기실이 가득 차 있었다. 병원 접수창구는 신속항원검사 여부를 묻는 전화를 받느라 업무를 처리하기 힘든 상황이었다.
B씨는 “선별진료소나 병원이나 기다리기는 마찬가지였다. 검사 받으려다 감염되는 것 아닌가 걱정됐다”고 말했다. 검사 비용도 문제였다. B씨는 “개인병원의 경우 진료비(5000원)만 내면 검사를 할 수 있다고 해서 왔는데 증상이 있는 경우는 진료비만 내면 되지만 무증상인 경우는 3만5000원을 내라고 해서 당황했다”고 말했다.
신속항원검사의 결과를 믿지 못하겠다면서 PCR 검사 확대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정부는 지난 3일 변경한 코로나19 검사체계 시스템을 재검토하고 있다. 오미크론 대응 검사체계를 전국으로 확대 실시한 지 일주일 만이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