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화가, 심사정(1707(숙종 33)∼1769(영조 45))의 그림
선유도
[ 강상야박도(1747) ]
[ 괴석초충도 (1747)
[ 딱따구리 (1747) ]
[ 방심석전산수도 (1758) ]
[ 파교심매도 (1766) ]
[ 연지유압 (1768) ]
[ 경구팔경첩 (1768) ]
[ 맹호도(猛虎圖) (1774) ]
계산유촌
해암백구
화훼초충
[ 명경대 (1750) ]
[ 하마선인도(蝦磨仙人圖) (1765) ]
심사정. 1707(숙종 33)∼1769(영조 45). 조선 후기의 선비 화가.
본관은 청송(靑松). 자는 이숙(?叔), 호는 현재(玄齋)·묵선(墨禪). 포도를 잘 그렸던 정주(廷胄)의 아들이며 익창(益昌)의 손자이다.
영의정을 지낸 지원(之源)의 증손이자 포도와 인물을 잘 그렸던 정유승(鄭維升)의 외손자로 친가와 외가가 서화를 잘하였다. 그는 역모에 연루된 할아버지 때문에 벼슬길이 막혔다. 한때 어진모사중수도감에 '감동'으로 추천되었으나 대역죄인의 자손이라는 이유로 쫓겨난다. 타고난 재능으로, 20세 전후하여 겸재 정선에게 그림을 배운다. 생의 대부분을 산기슭의 초가에서 칩거하다시피 살며, 평생 붓을 놓지 않았다. 덕분에 지금 산수, 인물, 화조 등 100여 점이 넘는 그림이 남아 있다. 그에게 그림은 칠흑 같은 생을 밝힌 유일한 등불이었다.
그는 일생을 그림에 몰두했던 만큼 많은 양의 작품을 남기고 있다. 그가 다룬 화제(畵題)도 여러 방면을 두루 섭렵하고 있다. 산수화에는 특히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따라서 그에 대한 평가 역시 산수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는 18세기 화단에서 유행하였던 진경산수(眞景山水) 쪽보다 전통적인 중국 화풍에 관심이 컸던 듯하다. 그래서 그는 이인상(李麟祥)·강세황(姜世晃) 등과 함께 당시 화단에 남종화풍을 유행시키고 뿌리내리게 한 주역으로 등단하였다.
그의 회화는 여러 후배 화가들을 자극하였다. 최북(崔北)·이방운(李昉運)·이인문(李寅文) 등은 그의 영향이 엿보이는 대표적인 화가들이다. 그가 정선(鄭敾)에게 그림을 배웠다 하나 정선과는 화풍을 달리하고 있다.
그의 아호를 현재(玄齋)라 한 것은 명나라 말기의 남종화가인 동기창(董其昌)의 아호인 현재(玄宰)를 따른 것이다. 그래서 그의 회화는 선배들의 화법을 다양하게 섭렵하고 남·북종화풍을 모두 수용하여 대륙적 면모를 강하게 지니고 있다.
그의 작품은 당시 중국에서도 인정받았으며, 신위(申緯)는 심사정이 옛 것을 따랐지만 자운(自運 : 글씨본을 보지 않고, 쓰는 사람의 마음대로 붓을 움직이는 일)이 모자란다는 혹평도 하고 있다. 그러나 세련되고 능숙한 필치와 묵법으로 자신의 개성 있는 회화 세계에 도달하였다.
그의 현존하는 작품은 역시 그가 정열을 쏟은 산수화가 가장 많다. 그리고 진경산수·풍속화도 남기고 있으며 도석 인물(道釋人物)·화훼 초충(花卉草蟲)·영모(翎毛)·사군자(四君子) 등 모든 그림에 능숙한 필력을 과시하고 있다.
그의 회화들은 대담하고 활달한 담묵(淡墨 : 엷은 먹)과 농묵(濃墨 : 짙은 먹)의 사용에서 세필(細筆)의 정교한 묘사에 이르기까지 수묵(水墨 : 빛이 엷은 먹물)과 담채(淡彩 : 엷은 채색)를 다양하게 구사하였다.
산수화의 대표작으로는 <강상야박도 江上夜泊圖>·<파교심매도 ?橋尋梅圖>(국립중앙박물관 소장)·<촉잔도 蜀棧圖>(간송미술관 소장) 등이 손꼽힌다.
1747년 그가 만 40세 때에 그린 <강상야박도>는 북송의 미불, 원말 사대가인 예찬(倪瓚), 명대(明代)의 오파 화가(吳派畵家)들을 따른 흔적이 뚜렷하다. 그리고 이미 40대에 남종화풍을 바탕으로 하여 개성화한 면모를 보여 주고 있다.
1766년에 그린 <파교심매도>는 만년의 전형적인 남종화 양식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1768년 말년에 그린 <촉잔도>는 그가 영향받은 남·북종 대가들의 화법을 종합한 대작이다.
송나라 때 화원 화가인 이당(李唐)의 작품을 재해석하여 그린 것이다. 이 작품은 부벽준법 등에서 이당의 필법이 엿보인다. 그러나 피마준법 등 남종화풍도 겸용하고 있음이 눈에 띄며 화의는 남종화에 가깝다.
<금강산경도 金剛山景圖>·<한양근경도 漢陽近景圖>등의 작품 및 <명경대>·<만폭동> 등 금강산 그림과 서울 주변을 그린 <경구팔경도 京口八景圖>가 전한다.
그런데 화법에서 각이 진 먹선, 부벽준 등 자신의 필법이 강하게 눈에 띄어 동국 진경다운 맛은 적다. 또 그의 도석인물화는 생동감 넘치는 필치가 구사되었고 손가락으로 그린 지두화(指頭畵)로서 <하마선인도 蝦?仙人圖> 등은 능숙한 화경(畵境)을 느끼게 한다.
사군자 역시 사의(寫意)에 치우치고 대담한 필법을 보여 주고 있다. 그에 대한 강세황의 화평(畵評)에 의하면 화훼 초충을 가장 잘 하였고 영모·산수 순으로 잘 그렸다고 하였다. 실제로 부드럽고 밝은 채색의 화훼 초충과 영모화들이 전한다.
'◇.역사·고서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 오천살, 라스코 동굴벽화가 한국에 왔다! (0) | 2016.10.21 |
---|---|
감 따고 벼 베고…기록으로 보는 추억 속 그 시절 가을 풍경 (0) | 2016.10.18 |
최근에 찍은 영화처럼 생생한, 칼라로 된 韓國戰 필름 최초 공개! (0) | 2016.10.14 |
조선시대의 기네스북 인물들 (0) | 2016.10.13 |
사진으로 보는 그시절 (0) | 2016.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