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원 김홍도의 삼공불환도
▲ 김홍도, 삼공불환도, 조선 1801년, 133.7 x418.4cm, 삼성미술관 리움, 위: 전도. 아래" 사대부 주택 부분.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1745 ~1806년경) 가 말년에 그린
<삼공불환도 三公不煥圖>를 오랜만에 다시 보게 되었다.
삼성미술관 리움이 자체 소장한 단원의 작품들을 전시하는 작은 특별전을 마련
하면서 장기간의 보존처리를 마친 이 대작을 15년만에 공개한 것이다.
이 작품의 오른쪽 아랫부분에 긴 상처가 있는데 이는 앞 소장가 집에 불이 날 때
탄 자국이다.
하마터면 이 명작을 화마가 삼킬 뻔했던 위급 상황이었기에 불행 중 다행이었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삼공불환" 이란 자연과 더불어 사는 평안한 삶을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의 삼정승
자리와도 바꾸지 않겠다는 뜻이다.
그림 왼쪽 위에는 단원과 절친했던 홍의영(洪儀泳)이 이 그림의 내력을 장문의 제발
로 밝혀놓았다.
내용인즉 한(韓)씨 성을 가진 유수(留守, 아마도 강화유수 한만유)가 1801년 12월
임금님(순조)이 앓던 수두(水痘)가 쾌유된 것을 기념한다며 간부 세 사람에게 각기
갖고 싶은 그림을 말하라고 하자,
유수 한공과 홍의영은<신농씨가 치수하는그림>,
한 사람 <총제 摠制>은<꽃과 새> 그리고 또 한 사람
주판(州判)은<삼공불환도>를 원하여 단원에게 이를 제작하게 해 나누어준바,
바로 그 그림이라는 것이다.
홍의영은 이렇게 내력을 말한 다음 삼국지에도 나오는 유명한 문인인 중장통
(仲長統)의<낙지론 樂志論>을 적어 넣었다.
"살기 좋은 집에는 넓은 논밭이 있고, 산을 등지고 냇물이 흐르며 (----)
대나무와 수목이 두루 펼쳐져 있다. 타작마당과 채소밭이 집 앞에 있고
과수원이 집 뒤에 있다. 배와 수레가 있고, 심부름하는 이가 있어 육신이
쉴 수 있다. (----) 좋은 벗들이 모이면 술과 안부로 즐기고 (----)
맑은 물에 몸을 씻고 바람 쐬며 놀다가(----) 시를 읊조리며 아름다운 곡도
연주하며 집으로 돌아온다. (----) 통달한 사람과 도를 논하며 고금의 인물을
평해본다. 책임질 일을 맡지 않고 천수를 다하면 우주 밖으로도 나갈 기분인데
어찌 제왕의 문으로 들어가는 것을 부러워하겠는가."
단원은 이 낭만적이면서 허허로운 주제를 그리면서 8폭병풍을 한 폭으로 삼아
폭 4.2m, 높이 1.4m의 대작으로 그렸다.
화면 왼쪽 절반은 평화로운 들녘과 강변 풍경이 있는 산수화로, 오른쪽 절반은 규모
있는 양반집의 넉넉한 일상적인 모습을 담은 풍속화로 그려 단원의 특기인 산수화와
풍속화가 한 폭에 집대성된 명작이 되었다.
화면 왼쪽의 산수화는 전경에 준수한 봉우리를 배치하고 먼 산을 한껏 뒤로 물러나게
설정하여 화제의 내용대로 좋은 논밭이 냇물과 산자락 사이로 아늑히 펼쳐지는 풍광
을 아주 부드러운 필치로 그렸다.
화면 오른쪽 대갓집 모습은 아낙네의 베 짜기, 아이들의 글공부, 딸아이의 그네뛰기,
친구와의 만남, 농사짓는 사람, 새참 나르는 사람, 집에서 기르는 개와 닭까지를 향토
적 서정이 넘치게 담았다.
인물의 몸동작이 정확하고 묘사가 섬세하여
"과연 단원이구나"라는 찬사가 절로 나온다.
단원 나이 57세의 무르익은 필치가 매 장면마다 유감없이 구사되었으니 단원의 명작
으로 꼽는데 아무런 거리낌이 없다.
이처럼 어떤 소재도 소화할 능력이 있고, 어떤 대폭이라도 감당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단원은 진실로 위대한 화가였음을 여기서 다시 한 번 확인하게 한다.
화제를 쓴 간재(稈薺) 홍의영(1750 ~1815)은 정조 7년(1783)에 문과에 급제하여
훗날 경기도암행어사 등을 역임한 문신으로 시와 글씨에 뛰어났다.
특히 단원의 그림에 화제를 많이 썼다.
<삼공불환도>이외에도<병암진장첩>,<기노세련계도>에도 유한지의 전서 글씨와 함
께 그의 글이 실려 있어 이들 세 명이 함께 자주 어울렸음을 보여준다.
연풍현감 이후 단원은 이처럼 당대의 문인들과 어울리면서 더욱 높은 화격(畵格)을
유지하게 되었음을 이 작품은 말해준다.
'◇.역사·고서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세황(1713~1791) (0) | 2019.02.23 |
---|---|
심사정(沈師正1707~1769) (0) | 2019.02.21 |
배 불룩 나온 조선 양반들···"하루 5끼 먹는 대식가" (0) | 2019.02.18 |
국보급 古 畵 (0) | 2019.02.14 |
정감 넘치는 우리의 민속화 (0) | 2019.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