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가이드

테이크아웃 카페·24시간 편의점도 없이… 세월을 비껴간 마을

산야초 2016. 9. 9. 22:25

테이크아웃 카페·24시간 편의점도 없이… 세월을 비껴간 마을

입력 : 2016.09.08 04:00

서울 성북동 '북정마을'

이미지 크게보기
테이크아웃 커피전문점도 24시간 편의점도 없는 서울 성북구 북정마을은 도심 속 비무장지대(DMZ) 같다. 재개발이 수차례 무산되며 1970~80년대 모습이 그대로 남아 있다. / 김종연 영상미디어 기자
서울 성북동 '북정마을'은 세월을 비껴간 도심 속 비무장지대(DMZ)다. 서울시청에서 직선거리로 3㎞ 떨어진 이곳은 3무(無) 마을이다. 테이크아웃 커피전문점, 24시간 편의점, 은행 ATM 기기가 없다. 혜화문과 숙정문을 잇는 한양도성 성곽 아래 가파른 북사면에 있다.

서울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역에서 도보로 30분, 마을버스로 10분 거리. 마을 어귀에는 '서울의 마지막 달동네'라는 현수막이 걸려 있다. 성북동 하면 고래등 같은 기와집이 떠오르지만 이곳은 6·25전쟁 이후부터 저소득층이 살던 마을이다. 1983년 준공했다는 타원형 포장도로를 따라 올망졸망 들어선 500여 채의 기와와 슬레이트 지붕 집들은 1970~1980년대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겨울에 연탄 때는 집도 많다.

마을버스가 지나는 포장도로는 실핏줄 같은 골목길과 만난다. 포장도로를 따라 걸어 5분이면 한 바퀴 돌아보는 작은 마을이지만 골목골목 걷다 보면 시간이 훌쩍 간다. 맘에 쏙 드는 골목을 발견하는 재미가 있다. 골목 사이사이, 담벼락과 처마 너머로 서울 성곽이 모습을 드러낸다.

이미지 크게보기
① 한용운 선생이 살았던 ‘심우장’. ② 북정마을에 있는 유일한 식당 ‘북정카페’. ③ 집 외벽을 전시 공간으로 꾸민 ‘이끼’. ④ ‘살구’에서 작업 중인 작가들. / 김종연 영상미디어 기자
성북구 관계자는 "관광객 대상인 신축 한옥마을이 아니라 실제 사람들이 사는 골목 풍경에 일본 관광객이 특히 좋아한다"고 귀띔했다. 이미 유명한 북촌 한옥마을에서는 느낄 수 없는 소박함이 있다. 몇 번이나 재개발 계획이 엎어졌기 때문에 지금까지 과거 모습을 간직해올 수 있었다. 2011년 계획했던 한옥마을 조성사업이 시작됐다면 지금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었을 것이다.

이 마을 유일한 식당인 북정카페의 전(前) 주인(지금은 며느리에게 물려줬다) 고현선(61)씨는 "우리 마을은 문 걸어 잠그는 집 없고, 집마다 숟가락 몇 개인지도 다 알아"라고 말했다.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 주민이 40% 가까이지만 이웃 사이는 시골처럼 정겹다는 이야기. 북정카페 파라솔 의자에 앉아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5분 사이에 고춧가루를 꾸러 고씨를 찾아온 마을 할머니가 한 분, 내일 택시를 타야 하니 콜택시를 알아봐 달라며 찾아온 할머니가 한 분이었다.

구멍가게 몇 개가 전부, 마을버스(성북 03)를 타고 올라와야 하는 산자락 외진 곳이지만 북정마을의 매력에 빠진 젊은이들도 모여들고 있다. 작년 성신여대입구에서 이곳으로 사무실을 옮긴 신정엽디자인연구소 건축가 신정엽씨는 "조용한 밤에 창문 밖으로 조명을 받은 한양 도성이 시선을 뺏는다"며 "맞은편 집을 리모델링해 젊은 예술인들을 위한 공방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했다. 공방 겸 갤러리 '공간 살구'를 운영하고 있는 이순주 작가는 "홍대 인근을 전전하다가 2년 전 이곳에 왔다"며 "산책하다가 서로 만나 수다 떨 수 있는 시골 같은 분위기가 좋았다"고 했다. 가죽제품 공방, 전시공간 '이끼'도 들어섰다. 외국인을 위한 게스트하우스도 곧 오픈 예정이다.

마을을 돌아봤다면 북정카페 왼편 '심우장(尋牛莊) 가는 길' 표지판을 따라 50m 쯤 걸어내려간다. 만해 한용운이 만년을 보냈던 집이다. 박수진 성북문화원 향토사연구팀장은 "당시 토지대장을 살펴보면 이곳 외에는 민가가 없었다"며 "지금의 북정마을은 6·25전쟁 이후 1950~1960년대 사람들이 몰려와 살면서 생긴 것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처음으로 북정마을에 터를 잡은 사람은 만해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만해는 1933년 지인의 도움을 받아 이곳에 목조 기와집 '심우장'을 지었다. 심우장은 북향(北向)이다. 북사면에 집이 있으니 어쩔 수 없는 노릇이지만 '조선총독부와 등을 지기 위해서' 일부러 그렇게 지었다 한다. 만해는 1944년 입적할 때까지 이곳에서 살았다. 심우장에서는 만해를 주인공으로 한 뮤지컬 '심우'(극단 더늠) 공연을 무료로 하고 있다. 2014년부터 비정기적으로 해왔는데 올해는 9월 24일부터 4주 동안 매주 토요일 오전 11시에 한다.

심우장 가는 길에 '비둘기공원'이 있다. 시인 김광섭의 시 '성북동 비둘기'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한편에 시가 적혀 있다. "성북동 산에 번지가 새로 생기면서/본래 살던 성북동 비둘기만이 번지가 없어졌다/새벽부터 돌 깨는 산울림에 떨다가/가슴에 금이 갔다···(후략)" 성북동에 살았던 시인은 부자 외부인이 들어오면서 원주민이 삶의 터전에서 쫓겨나는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을 1960년대에 이미 목격했다.

북정마을이 살기 좋다는 소문이 나면서 지난 2년 사이 월세와 집값이 2배 가까이 뛰었다 한다. 비둘기는 또 집을 잃게 될까. 만해가 심었다는 심우장 향나무에 비둘기 한 마리가 앉아 깃털을 고르고 있었다.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