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한가위만 같아라'는 말 속에는 한가위가 일 년 중 가장 풍요로운 날이라는 의미뿐만 아니라,
한 해 동안 그리웠던 얼굴을 만날 수 있는 가장 기쁜 날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모두가 모여 풍성한 시간을 보내는 추석을 맞아 늘 알쏭달쏭 헷갈리는 차례상 차림법에 대해 정리했다.
입력 : 2015.09.23 14:31
추석은 가을 중의 가을인 명절이다. 달의 명절로도 일컬어지는 추석에는 풍요를 기리는 각종 세시풍속이 행해진다. 조상에게 예를 갖추는 차례와 같이 엄숙한 세시풍속이 있는가 하면 한바탕 흐드러지게 노는 세시놀이 역시 풍성하게 행해진다. 추석은 애초 농공 감사일(農功感謝日)로서 이날 명절식으로 송편을 빚어 조상에게 올려 차례를 지내고 성묘하는 것이 중요한 행사다. 추석 전에 조상의 산소를 찾아 벌초를 하여 여름 동안 묘소에 무성하게 자란 잡초를 베어준다. 추석날 아침에는 햇곡으로 빚은 송편과 각종 음식을 장만하여 조상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한다. 차례는 대체로 4대 봉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조선 후기부터의 관행이다. (출처: 국립민속박물관)
차례상차림
![](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509/01/2015090101272_0.jpg)
차례상 음식, 맛있게 만들려면
산적
양념장에 키위나 파인애플 같은 과일을 약간 갈아 넣어준다. 배즙을 넣기도 하는데 키위나 파인애플에 비해 연육작용은 조금 덜한 편. 키위나 파인애플을 너무 많이 넣으면 고기가 흐물거릴 수 있으니 주의할 것.
삶은 닭
닭은 미리 털, 지방, 핏물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끓는 물에 양파즙, 소금, 후춧가루를 넣어 찌면 닭 특유의 누린내가 나지 않으면서 찌고 난 다음 간이 맞아 그냥 먹기에도 좋다. 닭을 찔 때는 김이 오른 다음 넣어야 닭이 빨리 익고 육즙이 빠져나가지 않는다.
도라지무침
도라지는 옅은 소금물에 담갔다가 끓는 물에 살짝 데친 다음 헹구면 아린 맛이 많이 줄어든다. 소금만 넣고 볶고 다 볶은 뒤 불을 끄고 참기름을 넣어야 향이 좋다.
동그랑땡
동그랑땡의 경우 고기와 두부의 수분제거가 제일 중요하다. 수분이 적당히 제거되어야 부치는 동안 부스러지지 않고 예쁜 모양으로 부쳐진다. 일일이 짜내기 힘들기 때문에 면포에 감싼 뒤 무거운 도마로 30분 정도 눌러두면 수분이 제거되고 보송보송해진다.
두부
두부는 썬 다음 소금을 뿌려 수분을 충분히 제거하고 부쳐야 모양이 흐트러지지 않는다. 팬에 기름을 넉넉히 두르고 팬을 달군 다음 부쳐야 눌러붙지 않는다. 부친 두부는 종이 타월로 기름과 수분을 제거한 다음 접시에 담아 낸다.
생선전
생선은 미리 해동하여 소금, 후춧가루, 레몬즙으로 밑간을 하는 게 중요하다. 녹지 않은 상태에서 이리저리 만지거나 전자레인지에 해동하면 부스러져 모양이 예쁘지 않다. 미리 밑간을 하면 비린내가 나지 않고 살이 단단해져 부치는 동안 모양이 흐트러지지 않는다.
송편
흔히들 뜨거운 물에 익반죽하는데 오색송편을 만들 때는 찬물을 사용하기도 한다. 대신 찬물로 쫄깃하게 반죽한 뒤 냉장고에 넣고 1시간쯤 숙성시키면 찌는 동안 터지거나 갈라지지 않는다.
시금치나물
시금치는 끓는 물에 소금을 넣어 살짝 데친 다음 찬물에 재빨리 헹궈야 누렇게 변하지 않고 식감이 좋다. 무칠 때는 소금을 먼저 넣어 간을 한 다음 마지막에 참기름을 넣어야 간이 잘 밴다.
고사리무침
고사리는 손질 후 간장, 후춧가루, 소금 등의 양념으로 미리 무친 다음 볶아야 간이 잘 배고 맛도 좋다. 또한 센 불에서 재빨리 볶고 덜 삶아진 것 같으면 물을 조금 넣어서 볶아야 부드럽게 잘 볶아진다. 볶은 다음 참기름을 넣고 빨리 식혀야 비리지 않다.
생선찜
지역에 따라 갖은 생선을 올리는데 생선아가미를 통해 내장을 제거한 뒤 굵은 소금을 아가미 속으로 뿌린다. 이렇게 하면 간이 고루 배고 생선이 단단해져 모양이 잘 잡혀 찔 때 내장이 터지거나 비늘이 벗겨지는 일이 없다.
약과·산자
약과, 산자는 튀긴 것이기 때문에 유통기간이 짧은 것으로 고르는 것이 좋다. 때문에 제조일자를 꼭 확인하고 약과는 켜가 보이는 것이 손으로 만든 것이다. (출처: 여성조선)
'◇...중요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탁소에서 알려주지 않는 10가지 비밀 (0) | 2016.09.17 |
---|---|
●추석 명절 우리집 지켜줄 나만의 홈 CCTV, 스마트폰 공기계 하나로 뚝딱 (0) | 2016.09.15 |
알면 유용한 팁 40가지 (0) | 2016.09.13 |
냉장고에 보관해서는 절대 안 될 음식 8가지 (0) | 2016.09.12 |
삼재(三災)라 함은? (0) | 2016.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