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dimg.donga.com/wps/NEWS/IMAGE/2016/11/28/81563993.2.jpg)
박근혜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촛불집회가 분수령에 도달하고 이에 맞춰 정치권의 탄핵 표결도 코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박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가 기존 핵심 지지층을 중심으로 소폭 상승해 주목된다.
리얼미터가 지난 21~25일 전국 성인 2,5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28일 발표한 여론조사(무선 전화면접·스마트폰앱·유무선 자동응답 혼용) 결과 박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도는 9.7%로 전주와 같았지만, 핵심 지지층 사이에선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부산·경남·울산에서 국정수행 지지도가 12.0%로 나타나 전주(10.5%) 대비 1.5%포인트 상승했다. 지지성향별로는 새누리당 지지층에서 41.7%를 기록해 전주(36.3%) 대비 5.4%포인트, 중도보수층에서 10.8%를 기록해 전주(8.3%) 대비 2.5%포인트 올랐다.
지역별·성향별 소폭 상승 결과가 전체 지지도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박 대통령과 청와대로선 분위기 전환을 꾀해볼 만하다고 느낄 수 있다. 특히 시간이 갈수록 역사교과서 국정화 문제 등 전통적으로 여야가 대립하는 이슈가 생기고, 이를 적절히 키울 경우 어느 정도 선에선 기존 지지층이 결집하는 모습이 나타날 수도 있는 점을 기대할 수도 있다.
실제 청와대가 '인격살인' 등의 용어를 사용하면서 박 대통령에 대한 동정여론을 꾀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검찰 수사에 대해서 중립성 운운하는 것 역시 이 같은 계산에서 보수층을 자극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그러나 실제로 반전이 가능할지는 미지수다. 박 대통령의 '비선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검찰 수사가 한창 진행 중인 데다, 박 대통령이 첫 대국민담화에서 시인한 수준과 실제 최순실이 국정에 개입한 정도가 비교 불가능할 정도로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아울러 박 대통령의 '비선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가 갈수록 의혹을 증폭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때문에 보수층의 다수가 박 대통령 지지로 돌아설 가능성은 희박할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 관측이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