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식

브람스 / 교향곡 제2번, 라장조

산야초 2017. 10. 3. 22:39

Symphony No.2 in D major, Op.73
브람스 / 교향곡 제2번, 라장조
Johannes Brahms [1833∼1897]


교향곡 1번의 발표 직후, 무슨 주문에서 풀려난 사람처럼 브람스의 교향곡 창작은 순조로와졌다. 1번 교향곡을 완성한 다음해인 1877년에 제 2 교향곡은 작곡되었다. 1877년 당시, 그리 건강이 좋지 못했던 브람스는 요양차 펠차하라는 도시에 들렀다. 그곳의 자연이 주는 경이감과 생명력에 감동한 브람스는 곧바로 신작 교향곡의 작곡을 시작하였다. 1번 교향곡의 부담감이 사라지고 나자 그는 마법이 풀린 사람처럼 순조롭게 작곡을 해나갈 수 있었다. 2번 교향곡은 착수한 지 불과 4개월만에 완성되었으며 차분한 분위기와 작곡의 배경등을 감안해 ‘브람스의 전원교향곡’이라고도 불린다. 실제로 각 악장의 기조음이 3도씩 하향하여 긴장이 이완된다는 점이나 목관의 사용이 풍부해서 다른 작품에 비해 온화한 인상을 갖고 있다는 점 등, 이 작품에는 목가적인 요소가 가득하다.

1악장 알레그로 논 트로포
음악학자인 크레치머는 1악장을 가리켜 "저물어가는 태양이 숭고하고 그 위에 진지한 빛을 던지는 즐거운 풍경"이라고 평하였는데, 말 그대로 평화롭고 온화한 악장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저물어가는 저녁하늘을 바라보며 홀로 상념에 젖어있는 쓸쓸한 시정도 매우 잘 나타난 악장이라고 할 수 있다.



1악장 Allegro non troppo

2악장 아다지오 논 트로포
우수에 젖은 듯한 사색적인 악장으로서 장조의 조성임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고독한 시정이 감돌고 있다. 형식은 변형된 형태의 소나타 형식으로서 발전부 자체가 경과부화 되어 매우 짧고, 또한 재현부는 변주곡 형태로서 제2주제가 생략되어 있다. 필자는 이 재현부 전체를 하나의 변주곡으로 이해하는 편이 더 쉽게 느껴졌다.


2악장 Adagio non troppo

3악장 알레그레토 그라치오소
가장 경쾌한 악장으로서 다음 4악장의 분위기를 암시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그러나 역시 곡 전체에서 느껴지는 애수에 찬 시정도 나타나는데 제1주제가 특히 그러하다. 형식적으로는 A-B-A'-C-A" 구조의 론도 형식이지만, 스케르초의 형식을 바탕으로한 변형된 구조로 보는 것이 무난하다. ‘목가’라는 별명에 꼭 맞는 악상이다. 목관악기가 현악기의 피치카토를 배경으로 주제를 연주한 후, 현악기가 분위기를 바꾸어 민첩한 움직임을 보인다. 곧이어 다시 주제가 등장하는 간단한 3부 형식의 악장이다.


3악장 Allegretto grazioso - Presto ma non assai

4악장 알레그로 콘 스피리토
브람스 교향곡 전 악장 중에서 이처럼 찬란하고 통열한 피날레는 찾기 힘들지 않을까. 어떤 설명도 이처럼 아름답고 기쁨으로 충만한 시정을 모두 보여줄 수 는 없을 것이다. 4악장을 통해 필자는 브람스의 정열과 사랑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작곡 당시 페르차하에서 보낸 1877년의 여름이 그에겐 얼마나 각별하였던가를 새삼 느끼게 되었다. 이미 필자에게도 기회가 된다면 꼭 한번 가보고 싶은 여행지가 되어버렸다. 그곳에서 브람스가 바라보았던 '그 풍경'에 마음껏 취해 보고 싶다. 4악장은 소나타 형식으로 되어있고, 특히 제1주제는 두 개의 악구로 이루어져있다. 이 중에서 제2악구는 제2주제로 이행하는 경과부를 수반하고 있어서 주제와 주제를 연결하는 기능도 하고 있다.


4악장 Allegro con spirito
Berliner Sinfonie Orchester
Kurt Sanderling, Cond

쾌활함으로 가득차 있다. 브람스의 작품 중에서 이처럼 낙천적인 피날레는 없다. 현악기의 리드미컬한 연주를 배경으로 금관과 팀파니가 가세해서 마치 춤곡과도 같은 화려함을 선사한다. 역시 현과 목관이 번갈아가며 등장시키는 주제의 대비가 흥미롭다. 전체적으로 빨라지며 고조되어가는 음향이 코다로 바로 이어진 후 작품이 끝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