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암괴석과 어울린 선홍빛 단풍은 압권…
11월 방문객 전체 국립공원 중 세 번째
국립공원 연간 방문객 수를 곰곰이 살펴보면 어느 산이 단풍 명산인지 금방 파악된다. 10월은 설악산이 압도적이다. 매년 100만 명가량 방문한다. 2017년 전체 국립공원 기준 11월 방문객은 주왕산이 눈에 확 띈다. 주왕산은 내장산 64만 8,897명, 북한산 45만 여 명에 이어 39만 8,391명으로 세 번째로 많다. 내장산과 함께 남부의 대표 단풍명산이다.
주왕산은 국립공원일 뿐만 아니라 세계지질공원으로 등재될 만큼 기암괴석과 뛰어난 경관으로 유명하다. 그 기이한 바위와 어울린 단풍은 또한 절경이다. 주왕산 연간 방문객 131만 2,445명 중에 30% 이상이 11월에만 방문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주왕산은 몇 가지 이름과 함께 두 가지 지명유래가 전한다. 널리 알려지기로 중국의 주왕周王이 당나라 군사에 쫓겨 이 산에 숨어들었다고 해서 유래한 설과 신라 태종무열왕의 6대손인 김주원이 왕위에 오르지 못하자 이 산에 숨었다가 사후에 주원왕으로 불려 유래했다는 설이다. 두 유래 모두 주왕이란 이름에 의해 주왕산으로 됐다는 것이다.
유래가 전하는 시기는 삼국시대와 통일신라 즈음. 그렇다면 최소한 <삼국사기>나 <삼국유사> 늦어도 <고려사>에는 주왕산이란 지명이 등장해야 한다. 하지만 <고려사>까지 전혀 나오지 않는다. 그 지명유래의 신뢰성에 심각한 의문이 생긴다.
흔히 주왕산 지명유래의 근거로 <주왕내기周王內記>를 내세운다. <주왕내기>는 조선 초 1463년 전후 눌옹이 유불선 사상과 신선(산신)신앙을 함께 담아 쓴 소설 같은 내용이다. 등장인물은 주로 8세기 전후 활동했으며, 당나라와 발해‧신라를 넘나들며 상상의 나래를 펼친 내용들로 가득차 있다. 눌옹은 성삼문의 호이기도 하지만 고려 말 활동했던 눌옹 선사로도 해석한다. 시대적 배경도 세조가 조카 단종을 폐위하고 왕위에 오른 상황이다. 이로 볼 때 <주왕내기>는 저자 눌옹이 가상인물인 주왕을 내세워 은둔을 강조하려는, 즉 세조의 패륜과 같은 비윤리적 현실에 대한 도피적 성격을 강조했다고 할 수 있다. 현실을 도피하고 싶은 심경을 소설로 쓴 것을 현대에 와서 그것을 실제 유래인 양 받아들이는 형국이 돼버린 셈이다. 주왕산이란 지명은 실제로 조선 초 <신증동국여지승람> 발간 즈음해서 처음 등장한다.
이로 볼 때 주왕산은 역사에 있어 패자의 기록에 대한 아쉬움이 묻어나는 산이다. 주왕도 그렇고, 김주원도 그렇고…. ‘승자의 기록은 햇빛을 받아 역사가 되고, 패자의 기록은 달빛을 받아 신화와 전설이 된다’는 격언이 주왕산을 보며 더욱 떠오른다. 달빛을 받아 바랜 주왕산의 신화와 전설이 나뭇잎을 더욱 바래게 해서 단풍이 여느 산보다 더욱 선홍빛으로 발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