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9.04.18 19:20 | 수정 : 2019.04.19 10:35
조선일보 땅집고가 내 집짓기에 처음 도전하는 예비 건축주에게 실패하지 않는 노하우를 제시할 ‘제1기 왕초보 내집짓기 과정’을 오는 20일 개설합니다. 건축주 스스로 충분한 지식과 소양을 쌓아야 좋은 건축가와 시공사를 만날 수 있습니다. 왕초보 과정을 이끌 건축 멘토들을 미리 만나 그들이 가진 건축 철학과 노하우를 들어봤습니다.
[왕초보 내집짓기] “아파트보다 편하고 관리비 덜 드는 단독주택 가능하죠”
경기도 광주시 오포읍 능평리의 도로 옆 길목에는 나무가 에워싼 벽돌집이 나온다. 은퇴 후 새로운 삶을 위해 노부부가 지은 집이다. 남편은 국제기구에 다니면서 오랫동안 타향살이를 했고, 아내는 교수직 정년 퇴임을 앞두고 있었다. 부부는 우리나라 외곽 한적한 곳에 집을 짓고 노년을 보내는 것이 꿈이었다.
[왕초보 내집짓기] “아파트보다 편하고 관리비 덜 드는 단독주택 가능하죠”
경기도 광주시 오포읍 능평리의 도로 옆 길목에는 나무가 에워싼 벽돌집이 나온다. 은퇴 후 새로운 삶을 위해 노부부가 지은 집이다. 남편은 국제기구에 다니면서 오랫동안 타향살이를 했고, 아내는 교수직 정년 퇴임을 앞두고 있었다. 부부는 우리나라 외곽 한적한 곳에 집을 짓고 노년을 보내는 것이 꿈이었다.
![](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904/18/2019041802979_0.jpg)
부부는 200평짜리 땅을 미리 알아본 뒤 김형섭 마고퍼스종합건설 대표를 찾았다. 겉모습이 화려한 집보다 살기 편한 집을 원했다. 김 대표는 부부에게 ‘에너지 절감형 주택’을 제안했다. 그는 “보통 단독주택은 냉난방 비용이 많이 든다는 편견이 있는데 제대로 된 자재를 사용해 올바른 시공을 하면 단독주택에서도 냉난방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설득했다. 건축주 부부는 흔쾌히 동의했다.
![](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904/18/2019041802979_1.jpg)
김 대표는 고려대 건축공학과와 미국 뉴욕주립대 석사과정을 밟고 캐나다 부촌(富村)과 우리나라 판교·분당 등지에 100채 가까운 단독주택을 시공했다. 그는 4월 20일 조선일보 건축주대학이 주최하는 ‘제1기 왕초보 내 집짓기 과정’에서 단독주택 시공 절차와 인테리어, 자재 선정 기준 등에 대해 강연할 예정이다. 땅집고는 경기 광주시 오포읍에 지어진 단독주택을 통해 김 대표의 집짓기 노하우를 들어봤다.
![](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904/18/2019041802979_2.jpg)
![](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904/18/2019041802979_3.jpg)
◆건축 개요
대지위치 : 경기도 광주시 오포읍
대지면적 : 638㎡(193평)
건물규모 : 지하1층, 지상2층
건축면적 : 172.24 ㎡(52.10평)
연면적 : 262.76 ㎡(79.48평) (지하1층: 52.51㎡, 1층 : 126.65㎡, 2층 : 83.60㎡)
건폐율 : 27.00%
용적률 : 32.95%
주차대수 : 2대
최고높이 : 12.29m
공법 : 기초-철근콘크리트구조, 지상-경량목구조
구조재 : 벽-2x8 캐나다산 구조목재 2&BTR SPF등급, 지붕-2x10 캐나다산 구조목재 2&BTR SPF등급
지붕마감재 : 0.7 징크(ZINK)
단열재 : 에코배트(EcoBatt R30, 21)
외벽마감재 : 적고벽돌 + kmew사이딩
창호재 : 이건 PVC 시스템 창호 (3중유리·이중로이코팅)
에너지원 : 도시가스
내부 마감재 : 바닥-원목마루, 벽-나무벽지
■ 아파트보다 관리비 40% 저렴한 단독주택
일반적으로 단독주택은 외부에 노출된 면적이 일반 아파트보다 4배 정도 많아 냉·난방비가 50% 이상 많이 나오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단독주택 거주를 포기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하지만 김 대표가 오포읍에 지은 주택은 일반적인 단독주택보다 60%, 아파트보다 30~40% 적게 나온다.
오포읍 단독주택을 지을 때 단열재와 창호 기능이 뛰어난 것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물론 가격도 1.5~2배 정도 비싸다. 하지만 김 대표는 “앞으로 여생을 한 곳에서 보낼 은퇴 세대들에게 장기적인 유지비를 아끼는 편이 더 경제적일 수 있다”고 했다.
![](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904/18/2019041802979_4.jpg)
주택 내부의 창은 모두 3중 유리로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시스템 창호를 달았다. 법적 기준보다 한 등급 높은 미국산 유리섬유 단열재를 사용했다. 지붕 처마는 크게 내렸다. 여름철 직사광선을 줄이기 위해서다.
■ 박공지붕이 감싸는 2층 벽돌집
![](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904/18/2019041802979_5.jpg)
![](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904/18/2019041802979_6.jpg)
200평 가까운 면적의 대지는 경사가 높아 상대적으로 작아 보였다. 대지 남쪽은 경사진 큰 나무로 둘러싸여 있고 북쪽으로 도로가 났다.
건축주 부부는 김 대표와 처음 미팅할 때 미국에 있는 목구조 주택 사진을 보여줬다. 검은 금속으로 된 박공지붕(책을 세워 놓은 것처첨 경사진 지붕)에 고동색 목재 패널을 외벽 자재로 쓴 집이었다. 한국 전원주택 디자인으로는 이국적인 모습이었다. 하지만 건축주 요구를 최대한 충족시키기 위해 미국 집과 비슷하게 검정색 박공지붕이 건물을 감싸는 디자인으로 외형을 설계했다.
![](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904/18/2019041802979_7.jpg)
목재 패널 대신 외벽에는 ‘고(古)적벽돌’을 사용했다. 이 벽돌은 오래전 중국에서 만든 벽돌을 해체한 것으로 순수 점토 100%의 붉은 벽돌보다 색상이 자연스럽다. 벽돌 사이 줄눈의 색상에 따라 붉은 색깔뿐만 아닌 오렌지빛으로 보인다.
■ 창밖으로 울창한 나무가 펼쳐진 부부의 방
집은 2층으로 설계했다. 1층은 거실과 주방 등 공용 공간이고 2층은 부부 공간이었다. 내부는 어떤 가구, 어떤 디자인과도 잘 어울리는 ‘화이트와 우드’ 스타일로 벽지와 원목마루가 쓰였다.
![](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904/18/2019041802979_8.jpg)
부엌과 거실이 이어진 1층에는 블랙 선반을 이용해 거실과 부엌을 분리했다. 부부는 선반에 그릇이나 책 등 장식품을 올려뒀다. 부엌은 개수대가 딸린 넓은 아일랜드 식탁 형태 조리 공간과 다이닝 공간으로 붙어 있다.
![](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904/18/2019041802979_9.jpg)
![](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904/18/2019041802979_10.jpg)
부부는 그림을 그리거나 기타 연주를 즐겼다. 건축주 요구를 반영해 김 대표는 2층 테라스가 딸린 방에 부부가 취미 생활을 즐길 특별한 작업실을 만들었다. 바깥으로 울창한 나무들이 보이는 테라스에서 충분히 휴식하고 사색하면서 취미 생활을 즐길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디자인했다. 은퇴 후 여생을 함께 할 부부를 위한 가장 특별한 공간으로 완성됐다.
![](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904/18/2019041802979_1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