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역선택 논란에…국민의힘, '정권교체 찬성' 문항 유력 검토
입력2021.09.01. 오전 10:03
수정2021.09.01. 오전 10:57
[[the300]국민의힘 선관위, 캠프에 구체적인 안 제시]
원본보기
26일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대통령후보자 선거관리위원회 임명장 수여식 및 제1차 회의에서 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에 임명된 정홍원 전 국무총리가 인사하고 있다. /사진=뉴스1
국민의힘 대선 경선 여론조사에서 여권 지지층을 배제하는 '역선택 방지조항' 포함 여부가 쟁점으로 떠오른 가운데 당 선관위가 '정권 교체에 찬성하십니까'라는 문항을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1일 정치권에 따르면 당 선관위 핵심 관계자는 최근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 일부 캠프에 역선택 방지조항 관련 3개 안을 제시하고 의사를 타진했다. 3개 안은 모두 역선택 방지조항을 어떤 식으로든 포함한다.
1안은 역선택 방지조항을 경선 과정 여론조사에 모두 포함시키는 것이다. 당 선관위는 역선택을 방지하기 위해 '정권교체에 찬성하십니까'라는 문항을 포함하는 안을 제시했다. 정권교체에 찬성하는 응답자만 여론조사에 반영한다는 것이다.
이는 지지 정당을 물어 여권 지지층을 걸러내는 통상적인 '역선택 방지' 문항에 변칙을 가한 것으로 탈진보 성향까지 포함할 수 있어 더욱 포괄적이다. 민주당 지지자들을 배제하는 역선택 방지조항이 '고립조항'이란 비판이 나오자 이를 타개할 방안을 고심한 것으로 보인다.
2안은 여론조사를 실시할 때 1개 여론조사 업체에는 역선택 방지 조항을 포함하고, 나머지 1개 여론조사 업체는 포함하지 않은 채 조사를 진행한 뒤 합산하는 방식이다.
3안은 국민 여론조사 100%를 반영해 경선 후보를 8명으로 추리는 1차 예비경선(컷오프)에만 역선택 방지조항을 넣고 당원 투표를 포함하는 2차 예비경선부터 역선택 방지조항을 불포함하는 방식이다.
원본보기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들이 지난달 25일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국민 약속 비전 발표회’에서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사진=뉴스1
현재 당내에서는 역선택 방지 조항을 놓고 주요 후보들이 양분돼 난타전을 벌이고 있다. 앞서 활동을 종료한 당 경선준비위원회가 역선택 방지 조항을 도입하지 않기로 결정했는데 선관위가 이를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고 밝히면서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과 최재형 전 감사원장 측은 역선택 방지를 포함할 것을 요구하는 반면, 홍준표 의원과 유승민 전 의원은 반대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하태경 의원은 1차·2차 컷오프도 모두 '국민 여론조사 50%, 당원투표 50%'로 하자는 중재안을 제시했다.
앞서 경준위는 9월15일 1차 컷오프에서 여론조사 100%로 8명을 선출하고, 10월8일 2차 컷오프 '여론조사 70%, 당원투표 30%'로 4명을 선출키로 했다. 이어 11월9일 선출되는 최종 후보는 '여론조사 50%, 당원투표 50%'로 진행키로 결정했다.
이처럼 당내 신경전이 격화되는 상황에서 선관위는 '역선택 방지'의 구체적인 방식과 반영 비율을 놓고 다양한 안을 검토 중이다.
다만 지난달 26일 출범한 선관위가 이날부터 경선 룰 관련 당 내외 의견수렴 과정을 거치겠다고 예고했는데 이미 역선택 방지 조항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특정 안을 정해둔 게 아니냐는 논란도 나올 수 있다.
선관위로부터 이같은 가안을 전달받은 국민의힘 한 대선캠프 관계자는 "이미 경준위가 정한 경선룰을 바꾸기 위한 플랜(계획)을 짜놓았다는 인상을 받았다. 이미 결정한 안을 통보하는 식이었다"며 "역선택 방지조항을 넣겠다는 의지가 확고부동했다"고 말했다.
앞서 선관위는 1일 경선 후보자 대리인, 2일 여론조사 전문가를 대상으로 공정한 경선 관리를 위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을 갖는다고 공지했다.
박소연 기자 (soyunp@mt.co.kr)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럼] “세상이 미쳐 돌아가고 있다” (0) | 2021.09.03 |
---|---|
[칼럼] 5배 징벌적 배상 1호는 ‘탈원전 文’이 마땅하다 (0) | 2021.09.02 |
[사설] 美 언론단체 “韓 언론법은 독재 아닌 민주 국가선 처음” (0) | 2021.08.31 |
역선택 허용에 “엉터리”라던 홍준표의 과거 발언, 유튜브에 등장해 화제 (0) | 2021.08.29 |
목숨걸고 온 아프간인 두고…법무부, 기자에 "장관님 촬영 좀" (0) | 2021.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