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18.12.04 03:00
파주서 박격포 훈련, 표적 800m 빗나가 부대 안으로 2발 쾅쾅
"20m 옆엔 기름창고, 다 죽을 뻔"… 4단계 안전절차도 생략
훈련 도중 우리 군이 쏜 박격포탄 2발이 다른 부대 영내(營內)에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포탄이 부대 유류 저장소 20m 앞에 떨어져 화재 등 큰 피해로 이어질 뻔했다. 군 조사 결과, 박격포를 쏜 부대는 사전 훈련, 안전 점검 등 박격포를 쏘기 전에 지켜야 할 기본 절차를 무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육군에 따르면 지난달 22일 오전 8시 40분쯤 경기도 파주 육군 25사단 A연대 B대대에 60㎜ 박격포 고폭탄 2발이 떨어졌다. 포탄이 떨어지자 장병들은 "전쟁 난 것이 아니냐"라며 상황 파악에 나섰다고 한다. 당시 상황을 아는 한 간부는 "포탄이 떨어진 곳에서 불과 20m 거리에 유류고(庫)가 있어서 하마터면 대형 폭발, 화재로 이어져 다 죽을 뻔했다"고 했다.
육군에 따르면 지난달 22일 오전 8시 40분쯤 경기도 파주 육군 25사단 A연대 B대대에 60㎜ 박격포 고폭탄 2발이 떨어졌다. 포탄이 떨어지자 장병들은 "전쟁 난 것이 아니냐"라며 상황 파악에 나섰다고 한다. 당시 상황을 아는 한 간부는 "포탄이 떨어진 곳에서 불과 20m 거리에 유류고(庫)가 있어서 하마터면 대형 폭발, 화재로 이어져 다 죽을 뻔했다"고 했다.
아군 부대에 박격포를 쏜 것은 같은 25사단 C연대 D대대였다. 당시 포탄이 떨어진 부대에서 직선거리로 약 2㎞ 떨어진 파주시 파평면 금파리 사격장에서 박격포 고폭탄 사격 훈련을 하고 있었다. 포탄은 전방 1.8㎞ 떨어진 표적이 아니라 표적보다 왼쪽으로 800m 떨어진 산 너머 부대 안으로 떨어졌다.
조사 결과, 포반장(하사)이 박격포를 엉뚱한 쪽으로 놓았고 안전통제관, 소대장 등 다른 간부들은 이를 지나쳤다. 육군은 박격포 발사 때 총 4차례에 걸쳐 안전 점검을 한다. 규정상 반드시 현장에 있어야 하는 중대장은 전역자 신고를 받는다며 자리를 비웠다.
사전 훈련도 못 할 정도로 무리하게 훈련 일정을 잡은 게 아니냐는 추측도 나온다. 애초 이 대대는 다른 훈련을 마치고 해당 시각에는 장비 점검을 하게 돼 있다. 하지만 '공용 화기 월 1회 사격' 목표를 채우기 위해 장비 점검 시간에 포를 쐈다는 것이다. 박격포 역시 통상 훈련 때 놓는 위치가 아니었다고 한다.
부대를 관할하는 3군 사령관은 사고 직후 예하 부대에 "당일 11개 부대가 사격을 해 규정과 절차에 따른 안전 확인 없이 급하게 사격을 진행했다"며 "남북 군사 합의 이후 금파리 사격장 등에 사격량이 증가할 테니 훈련 일정을 통폐합해 사격 일정에 무리가 없도록 조치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9월 남북은 군사분계선(MDL) 남북 5㎞에서 포 사격 등을 중단하기로 했다. 이 때문에 최전방 사격장을 이용해온 일부 부대는 금파리 사격장(MDL에서 10㎞)처럼 다른 사격장을 찾아야 하는 상황이다.
훈련 도중 계산 실수로 포탄이 야산에 떨어진 적은 있지만 아군 부대 안에 날아든 것은 이례적이다. 육군에 따르면 박격포 훈련을 할 때는 사전 훈련, 비사격 훈련(포탄을 쏘지 않는 발사 훈련) 등을 하게 된다. 실제 포를 쏠 때도 매뉴얼에 따라 4차례 점검을 한다.
병사가 사격 각도, 거리 등을 계산하면 1차 점검에서 포반장과 소대장이 확인한다. 2차 점검에서 안전통제관과 중·소대장이 다시 한 번 사격 각도와 거리를 따로 계산해 기존 데이터와 비교한다. 3차에서는 중·대대장이 포의 각도 등을 확인하고, 4차에서는 대대장이 최종 안전 점검을 한다.
하지만 이날 D대대는 이런 절차를 지키지 않았다는 게 육군의 판단이다. 사전 팀 단위 훈련이나 비사격 훈련을 생략했다. 2차 점검 때 안전통제관이 사고가 난 박격포에 대해 "방향이 이상하다"고 지적했다고 한다. 포반장이 정확한 계산을 하지 않고 박격포 방향을 돌렸고, 이후 3·4차 점검도 생략됐다.
결국 포탄은 엉뚱한 방향으로 날아갔다. D대대는 이날 총 15발을 발사할 예정이었는데, 11번째 발사 때 포탄이 원래 목표 지점에 떨어지는 모습이 보이지 않자 해당 부대는 "한 번 더 쏘자"고 했고 똑같이 잘못된 곳에서 박격포탄을 쐈다.
한 공용 화기 담당 중대장은 "금파리 사격장은 사격 방향에 산이 가로막고 있어서 조금 빗나가도 보통 산에 맞는 것이 정상"이라며 "완전히 엉뚱하게 쏴야 가능한 일"이라고 했다. 이 사격장에서 수년 전에도 박격포탄이 부대 주둔지 근처에 떨어지는 일이 있었다.
일선 부대에서는 훈련 계획상 잡힌 포탄을 연내 모두 써야 한다는 군 내부 분위기도 무리한 훈련의 원인으로 꼽는다. "연말에 탄(彈)이 남으면 '왜 훈련을 제때 못했느냐'는 지적이 나올 수 있다 보니 급하게 실사격 훈련을 한 게 아니냐"는 것이다.
금파리 사격장은 평소에도 이용하는 부대가 많은 곳이었다고 한다. 박격포와 무반동총 등 다양한 무기 사격이 가능해 인천 등 다른 지역의 부대도 사격을 하러 온다고 한다. 지난 9월 남북이 MDL로부터 5㎞ 안에서는 '적대 행위'를 하지 않기로 합의했는데, 여기에 해당하지 않는 금파리 사격장은 향후 훈련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이라는 예상도 나왔다.
육군 본부 관계자는 "남북 합의와 관련해서는 무건리 사격장 등 다른 사격장 이용이 늘었지만 금파리 사격장은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안다"고 했다. 3군 사령관이 당시 11개 부대가 금파리 사격장을 이용했다고 한 데 대해 "실제는 D대대를 비롯해 6개 부대가 이용했고, 이는 평균 부대 수(일 4~6개)와 큰 차이가 없다"고 주장했다.
육군은 이번 오발 사고의 책임을 물어 대대장과 중대장 2명, 사격지휘관(상사), 안전통제관(상사), 포반장(하사) 등 6명을 징계위원회에 회부했다. 이날 사격장에 나오지 않은 중대장도 포함됐다. 이 사단은 훈련은 물론 체육대회 등 예하 부대의 외부 활동을 모두 취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육군 핵심 관계자는 이번 사고에 대해 "군은 깊은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며 "안전에 소홀히 한 부분이 있는지 엄중히 조사해서 책임을 물을 예정"이라고 했다. 육군은 이번 사고 등을 계기로 내년 1월부터 육군본부에 전투준비안전단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 포반장(하사)이 박격포를 엉뚱한 쪽으로 놓았고 안전통제관, 소대장 등 다른 간부들은 이를 지나쳤다. 육군은 박격포 발사 때 총 4차례에 걸쳐 안전 점검을 한다. 규정상 반드시 현장에 있어야 하는 중대장은 전역자 신고를 받는다며 자리를 비웠다.
사전 훈련도 못 할 정도로 무리하게 훈련 일정을 잡은 게 아니냐는 추측도 나온다. 애초 이 대대는 다른 훈련을 마치고 해당 시각에는 장비 점검을 하게 돼 있다. 하지만 '공용 화기 월 1회 사격' 목표를 채우기 위해 장비 점검 시간에 포를 쐈다는 것이다. 박격포 역시 통상 훈련 때 놓는 위치가 아니었다고 한다.
부대를 관할하는 3군 사령관은 사고 직후 예하 부대에 "당일 11개 부대가 사격을 해 규정과 절차에 따른 안전 확인 없이 급하게 사격을 진행했다"며 "남북 군사 합의 이후 금파리 사격장 등에 사격량이 증가할 테니 훈련 일정을 통폐합해 사격 일정에 무리가 없도록 조치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9월 남북은 군사분계선(MDL) 남북 5㎞에서 포 사격 등을 중단하기로 했다. 이 때문에 최전방 사격장을 이용해온 일부 부대는 금파리 사격장(MDL에서 10㎞)처럼 다른 사격장을 찾아야 하는 상황이다.
훈련 도중 계산 실수로 포탄이 야산에 떨어진 적은 있지만 아군 부대 안에 날아든 것은 이례적이다. 육군에 따르면 박격포 훈련을 할 때는 사전 훈련, 비사격 훈련(포탄을 쏘지 않는 발사 훈련) 등을 하게 된다. 실제 포를 쏠 때도 매뉴얼에 따라 4차례 점검을 한다.
병사가 사격 각도, 거리 등을 계산하면 1차 점검에서 포반장과 소대장이 확인한다. 2차 점검에서 안전통제관과 중·소대장이 다시 한 번 사격 각도와 거리를 따로 계산해 기존 데이터와 비교한다. 3차에서는 중·대대장이 포의 각도 등을 확인하고, 4차에서는 대대장이 최종 안전 점검을 한다.
하지만 이날 D대대는 이런 절차를 지키지 않았다는 게 육군의 판단이다. 사전 팀 단위 훈련이나 비사격 훈련을 생략했다. 2차 점검 때 안전통제관이 사고가 난 박격포에 대해 "방향이 이상하다"고 지적했다고 한다. 포반장이 정확한 계산을 하지 않고 박격포 방향을 돌렸고, 이후 3·4차 점검도 생략됐다.
결국 포탄은 엉뚱한 방향으로 날아갔다. D대대는 이날 총 15발을 발사할 예정이었는데, 11번째 발사 때 포탄이 원래 목표 지점에 떨어지는 모습이 보이지 않자 해당 부대는 "한 번 더 쏘자"고 했고 똑같이 잘못된 곳에서 박격포탄을 쐈다.
한 공용 화기 담당 중대장은 "금파리 사격장은 사격 방향에 산이 가로막고 있어서 조금 빗나가도 보통 산에 맞는 것이 정상"이라며 "완전히 엉뚱하게 쏴야 가능한 일"이라고 했다. 이 사격장에서 수년 전에도 박격포탄이 부대 주둔지 근처에 떨어지는 일이 있었다.
일선 부대에서는 훈련 계획상 잡힌 포탄을 연내 모두 써야 한다는 군 내부 분위기도 무리한 훈련의 원인으로 꼽는다. "연말에 탄(彈)이 남으면 '왜 훈련을 제때 못했느냐'는 지적이 나올 수 있다 보니 급하게 실사격 훈련을 한 게 아니냐"는 것이다.
금파리 사격장은 평소에도 이용하는 부대가 많은 곳이었다고 한다. 박격포와 무반동총 등 다양한 무기 사격이 가능해 인천 등 다른 지역의 부대도 사격을 하러 온다고 한다. 지난 9월 남북이 MDL로부터 5㎞ 안에서는 '적대 행위'를 하지 않기로 합의했는데, 여기에 해당하지 않는 금파리 사격장은 향후 훈련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이라는 예상도 나왔다.
육군 본부 관계자는 "남북 합의와 관련해서는 무건리 사격장 등 다른 사격장 이용이 늘었지만 금파리 사격장은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안다"고 했다. 3군 사령관이 당시 11개 부대가 금파리 사격장을 이용했다고 한 데 대해 "실제는 D대대를 비롯해 6개 부대가 이용했고, 이는 평균 부대 수(일 4~6개)와 큰 차이가 없다"고 주장했다.
육군은 이번 오발 사고의 책임을 물어 대대장과 중대장 2명, 사격지휘관(상사), 안전통제관(상사), 포반장(하사) 등 6명을 징계위원회에 회부했다. 이날 사격장에 나오지 않은 중대장도 포함됐다. 이 사단은 훈련은 물론 체육대회 등 예하 부대의 외부 활동을 모두 취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육군 핵심 관계자는 이번 사고에 대해 "군은 깊은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며 "안전에 소홀히 한 부분이 있는지 엄중히 조사해서 책임을 물을 예정"이라고 했다. 육군은 이번 사고 등을 계기로 내년 1월부터 육군본부에 전투준비안전단을 운영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