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이계가 던진, 여권의 요즘 화두는 ‘박근혜’ |
입력: 2008년 12월 03일 00:36:55 |
|
여권의 요즘 화두는 ‘박근혜’다. 박근혜 역할론이 재부상하고, 친박계 인사의 내각 기용론도 제기되고 있다. 원박·월박 등 친박계의 물밑 세 확산 이야기도 심심찮게 나돈다. 이 모든 것의 진원지가 ‘친이계’라는 점도 특징적이다. 하지만 정작 ‘친박 역할론’이 부상하자, 양측은 갈등 조짐으로 부글거린다. 이면에 숨은 계산이 서로 먼저 눈에 들어온 탓이다. 그만큼 ‘불신’의 공간은 여전히 깊고 넓다. 그럼에도 왜 새삼 박근혜인가.
1. 왜 다시 친박 논란인가
친李, ‘여권 위기’ 돌파 한계 절감
‘박근혜 동반자론 = 여권의 위기’는 그동안 되풀이된 공식이다. 지난해 대선 막바지 이회창 전 총재의 출마와 BBK 위기 때 그랬고, 지난 6월 촛불의 위기 때도 마찬가지였다. 다만 작금의 양태가 이전과 다른 것이 있다면 “위기를 헤쳐나가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두 사람이 자주 만나는 것”(김영삼 전 대통령)이라고 여권의 원로까지 나섰고, “MB 성공의 조건은 포용의 리더십”(김문수 경기지사)이라며 잠재적 경쟁자들까지 가세했다는 점이다. “내년 3·4월 (경제위기가) 체제가 위협받을 수도 있는 수준”(정정길 대통령 실장)이란 언급대로 그만큼 위기의식이 깊다는 얘기다.
그 점에서 “친박 역할론이란 다시 말해 친이 한계론”(친박계 초선의원)이란 평가는 정곡을 찌른다. 지금 여당 내부 상황이나, 여권의 지지기반을 볼 때 ‘친박’의 협력은 필요충분조건이란 의미다. 친이 직계의 한 핵심 의원은 “촛불로 곤욕을 치르고, 심각한 경제위기 상황, 미국 오바마 정부의 등장 등 여러 정세의 변화가 종합적으로 작용한 것 같다”면서 “이 대통령이 지금은 일을 해야 하는데 반대가 있으면 되겠느냐”고 ‘역할론’의 배경을 설명했다. 결국 취약한 ‘권력 기반’ 보완을 위한 인위적 ‘인적 통합’의 셈법이 깔린 셈이다.
2. 엇갈리는 셈법
친朴, ‘박근혜 활용론’ 아니냐 의혹
‘친박 역할론’을 대하는 친이·친박의 시선은 복잡하다. 근본적으로 친이 측의 의도는 이명박 대통령의 ‘성공’이다. 지금의 역할론이 자칫 위기 탈출을 위한 ‘박근혜 활용론’으로 비칠 수도 있는 대목이다. 친박 측이 “정국이 안 풀리니까 친박이 돕지 않기 때문이라는 식으로 만드는 것”(영남권 초선의원)이라고 친이계의 속내에 의구심을 곤두세우는 것도 그 때문이다. 결국 친이계가 협력을 얻는 데 실패하더라도, 박 전 대표만 ‘이기적 정치인’이란 이미지 손상을 입고, 친이계는 크게 밑질 것 없는 상황이 될 수도 있다는 우려다. 홍준표 원내대표가 지난 1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친이 진영에서도 옹졸하게 대처해선 안되고 친박 진영에서도 응석부리고 앙탈 부리는 모습을 보여선 안된다”고 싸잡아 비판한 것도 그런 맥락이다.
‘당내 야당’ 견제 의도에선 위험한 낌새도 풍긴다. 사실상 유일 견제 세력인 ‘친박계’를 우리 안으로 가둘 경우 정국과 국회를 마음대로 요리할 수 있다는 ‘힘의 과시’에 대한 의도로 읽히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친박계는 “(총리 기용 등) 일어나지 않은 일을 전제로 이야기 하는 것 자체가 (당) 분란을 일으키는 것”(김성조 의원)이라고 극도로 경계하며, ‘침묵’을 앞세우고 있다. 현실적으로 이명박 정부의 그늘에 합류하는 것이 도움이 될지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다. 내부적으로 “굉장히 다들 어려워질 것이라고 평가하지만, (박 전 대표에게) 진정 역할이 주어진다면 부담돼도 해야 한다”(친박 중진의원)부터 “이런 위기에 사람을 바꾼다고 될 것 같으냐”(초선 의원)는 반론까지 다양한 것은 그런 이유다.
3. 통합이냐, 친정체제냐
중진·주류-친이재오, 권력분점 이견
실제 친이 내부의 기류도 아직은 두 갈래다. 향후 여권 개편과 관련, 우선 친박 끌어안기를 통한 ‘통합론’과 친이계 전진배치를 통한 ‘친정체제 강화론’이다. ‘통합론’에 친이계 중진들과 주류들이 마음을 두고 있다면, 친이계 소장파들과 친이재오계는 ‘친정체제 강화론’에 기울어 있다. 친이 내부의 권력에 대한 이해관계도 작용한 스펙트럼이다.
‘통합론’의 경우 줄곧 제기된 대로 “지금 친이가 전면에 나서서 일이 되느냐. 지금은 일을 해야 할 때”(친이직계 핵심 인사)라는 현실적 ‘세불리’가 근거다.
반면 ‘친정체제 강화론’은 그간 이 대통령을 위해 총대를 멜 책임 있는 세력이 없었다는 반성이 출발점이다. 그 점에서 국정에 대한 무한 책임을 위해 ‘친이 주체세력’이 강고해져야 한다는 시각이다.
그 연장선에서 이재오 전 최고위원의 복귀 등 ‘친이 구심 회복’ 주장도 제기된다. 또 친이·친박 간 불신의 벽을 감안할 때 박 전 대표 총리기용은 “아마도 시기가 늦은 것 같다”(정두언 의원)는 ‘실기론’도 한 요소다.
그 점에서 ‘친박 역할론’이 국정방향에 대한 친이계와의 일치된 이해 없이 단순 ‘태스크포스식’ 인적 결합으로 끝날 경우 과거 ‘권력 분점’의 역사처럼 이혼을 예비한 결합이기 십상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김광호·박영환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