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조 월담 윤의립(月潭 尹毅立) 조선조 월담 윤의립(月潭 尹毅立) 1568년(선조 1)~1643년(인조 21) 四季山水圖 - 春景 四季山水圖 - 夏景 四季山水圖 - 秋景 四季山水圖 - 冬景 傳 윤의립 - <樹下高士圖> 四季山水圖 - 秋景 ◇.역사·고서화 2019.06.17
소상팔경도 ▲ 작가 미상, 소상팔경도(조선 1539년, 각 98.3 x 49.9cm. 일본 다이겐지) ▲ 제1경 산시청람 ▲ 제2경 연사만종 ▲ 제3경 어촌석조 ▲ 제4경 원포귀범 ▲ 제5경 소상야우 ▲ 제6경 동정추월 ▲ 제7경 평사낙안 ▲ 제8경 강천모설 조선시대 회화사는 155년 중종 연간까지를 초기, 이후 1700년 숙종 .. ◇.역사·고서화 2019.06.13
추사선생 대련2점 작품 해설 好古有時搜斷碣, 硏經婁日罷吟詩 (호고유시수단갈 연경루일파음시) "옛것을 좋아해 때로 깨진 비갈을 찾고, 경전연구 여러 날에 끝내면 시를 읊는다." 측면의 긴 관기(款記)는 ‘죽완(竹琬)’이라는 호를 가진 사람에게 이 글씨를 보내면서 쓴 것으로, 그가 늘 주장하던 서법(書法)의 기원.. ◇.역사·고서화 2019.06.06
오틸리엔수도원의 겸재화첩 오틸리엔수도원의 겸재화첩 ▲ 정선, 금강내산전도, 조선 18세기 33.0 x 54.5cm, 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 ▲ 정선, 함흥본궁송, 조선 18세기 28.8 x 23.3cm, 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 겸재(謙齎) 정선(鄭敾 1676 ~ 1759)은 진경산수(眞景山水)라는 한국적 산수화풍을 하나의 장르로 완성한 한국화의 .. ◇.역사·고서화 2019.06.01
양송당 김지의 동자견려도 양송당 김지의 동자견려도 ▲ 김지, 동자견려도 조선 16세기, 111.0 x 46.0cm 삼성미술관 리움 혹자는 조선 선조를 임진왜란을 겪은 무능한 임금으로 평하지만 그것은 재위 42년 중 마지막 8년간에 일어났던 불운이었을 뿐 후대인들은 오히려 목릉성세(穆陵盛世)라고 칭송했다. 목릉은 선조의 .. ◇.역사·고서화 2019.05.30
다산 정약용 작품 다산 정약용 작품 다산은 18년간 유배생활을 하였다. 그 긴 기간 동안 식구들을 그리는 정을 어찌 말로 다 표현할 수 있었을까. 그런 까닭에 다산은 자식들(6남 3녀 9남매를 두었으나 모두 요절하고 2남 1녀만 장성한다)에 대한 남다른 사랑을 보여준다. 아들에 대해서는 늘 그들의 글공부를.. ◇.역사·고서화 2019.05.26
연담 김명국의 죽음의 자화상 연담 김명국의 죽음의 자화상 ▲ 김명국, 죽음의 자화상. 조선 17세기, 60.6 x 39.1cm. 국립중앙박물관. 화가에게 있어서 술은 간혹 창작의 촉매제였다. 취옹(醉翁)이라는 호를 즐겨 사용한 17세기 인조 연간의 연담(蓮潭) 김명국 (金命國)은 정말로 취필(醉筆)을 많이 남겼다. 사람들은 그를 주.. ◇.역사·고서화 2019.05.23
100년 만에 처음 공개, 유관순 열사의 이화학당 시절 이화여자대학교(총장 김혜숙)는 창립 133주년을 기념해 21일 유관순 열사(1902~1920)의 이화학당 시절 미공개 사진 2점을 최초로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사진은 유관순 열사의 이화학당 보통과, 고등과 재학시절의 사진으로 추정된다. 두 사진 모두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사진 속의 모.. ◇.역사·고서화 2019.05.21
신사임당의 묵죽 신사임당의 묵죽 이 <묵죽>은 사임당에게 전칭된 네 폭 화첩중의 하나이다. 죽간(竹竿)이 비교적 가느다란 두 그루의 대나무가 각각 농묵(濃墨)과 담묵(淡墨) 으로 묘사되어 있다. 담묵으로 된 대나무는 겨우 보일 지경으로 그림자와도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대나무 잎은 대개 네 개.. ◇.역사·고서화 2019.05.20
능호관 이인상의 설송도 능호관 이인상의 설송도 ▲ 이인상, 설송도. 조선 18세기, 117.2 x 52.9cm 국립중앙박물관 눈이 많이 내렸다. 생활에 불편은 많았지만 눈다운 눈이 내렸다는 즐거움도 있었다. 세상엔 눈꽃보다 아름다운 꽃은 없다고 한다. 고궁으로 눈꽃 구경 갔다가 백설을 머리에 인 소나무를 보니 올해(2010.. ◇.역사·고서화 2019.05.15